인사평가자 교육의 목적 인사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 1) 인사평가의 목적 이해 2) 인사평가제도 및 관련 기준을 이해 및 확인하고 3) 평가자의 편차를 배제하여 평가자 평가기준 (尺度)의 통일을 도모한다 . 인사평가의 개요 • 조직내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조직에의 공헌도 및 기여 가능성을 객관적인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는 것이므로 • 인사평가는 조직에 근무하는 사람, 본질적인 인간을 대상으로 그 가치를 평정하는 것 • 인사평가는 사람 대 사람의 비교가 아닌, 사람이 수행하고 있는 일, 즉 직무와 사람의 비교 ∙ 평가를 원칙으로 한다. 사람을 평가하지 말고 업무를 평가한다. 부하의 좋은 점, 나쁜 점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가 한 ‘업무’에 관하여 잘한 점, 못한 점을 ..

해마 • 머리는 말과 같은 모양이고, 몸의 축과 직각을 이룬다. • 배가 볼록하게 나와 있으며, 꼬리는 둥글게 감겨 있다. • 몸과 꼬리는 딱딱하고 둥근 체륜으로 덮여 있다. • 머리와 주둥이에 불 모양의 긴 관상 돌기가 있다. 어미의 전장은 10cm 미만이다. • 암컷은 수란관을 수컷의 육아낭에 넣어 산란을 하고, 수정된 알은 약 2주일 후에 부화하게 된다. • 수컷은 부화 후에도 새끼를 잠시 육아낭에 담고 있으며, 결과적으로 수컷이 새끼를 낳는 묘한 생태를 보인다. 대주둥치 • 체형은 긴 타원형이고, 주둥이가 관 모양으로 길게 돌출되었다. • 머리와 몸에는 작고 거친 비늘이 있다. • 턱에 이빨이 없고 몸에 측선이 없다. • 등지느러미는 극조부와 연조부로 구분되고, 꼬리지느러미의 후연은 약..
(제 2 수칙) “사람과 사람 사이, 두 팔 간격 건강 거리 두기” ① 환기가 안 되는 폐된 공간 또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은 되도록 가지 않습니다. ② 일상생활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2m의 거리, 아무리 좁아도 1m 이상의 거리를 둡니다. ③ 다른 사람과 충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리를 배치합니다. ④ 많은 사람들이 모여야 할 경우 2m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거나 모이는 시간을 서로 다르게 합니다. ⑤ 만나는 사람과 악수 혹은 포옹을 하지 않습니다. (제 3 수칙) “30초 손 씻기, 기침은 옷소매” ① 식사 전・후, 화장실 이용 후, 외출 후, 코를 풀거나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한 후에는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거나, 손 소독제를 이용해 손을 깨끗..
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■ 정의 SARS-CoV-2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팬데믹으로 이어진 새로운 유형의 코로 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 ■ 질병분류 법정감염병 : 제1급감염병 신종감염병증후군 질병 코드 : U07.1 ■ 특징2) 고령, 면역기능이 저하된 사람,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이 주로 중증・사망 초래 잠복기는 1-14일(평균 5-6일) 예방백신이나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없음. 증상 : 발열(37.5℃), 기침, 인후통, 근육통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며 폐렴, 호흡부 전과 같이 중증경과로 진행될 수 있음. - 그 외 가래, 두통, 객혈과 오심, 설사 등도 나타남. 무증상일때도 전파 가능성이 있고 전..
평가절하정책의 시행과 관련된 문제들 일반적 고려 사항 - 경제구조, 국제거래구조, 현재 경제상태 등을 파악한 후 평가절하정책을 사용해야 함 - 예를 들어 평가절하 정책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탄력성 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므로 수출 및 수입의 가격탄력성을 잘 파악해야 함 - 또한 이러한 정책효과가 발생하는 시차에 대한 고려도 필요: J-커브 효과, 환율전가효과, 교두보 효과 등 고려 탄력성 조건이 만족되더라도 추가 고려 사항 - 평가절하는 비교역재 산업에서 교역재 산업으로의 소득재분배를 가져오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: 스톨퍼-사뮤엘슨 정리 - 평가절하는 교역조건을 악화시켜 국민후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경상수지 개선을 위해 무작정 평가절하에만 의존하기는 어려움 - 평가절하와 인플레이션 간의 악순환 고려:..

배경 - 평가절하의 경상수지 효과가 있다고 가정하고 대내 및 대외균형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정책 할당 방법 설명 - 두 가지 가능한 정책: 총수요관리정책(재정정책), 환율정책 - 통화정책은 별도의 독립적인 정책으로 간주하지 않음: 환율정책에 반영되었다고 가정 - 추가적인 가정: 자본이동이 없고 국내가격이 경직됨 대내·대외균형의 달성 기본 모형 대내균형: 𝑌=𝐴+𝐵𝑃, 𝐴≡𝐶+𝐼+𝐺 (5-10) 대외균형: 𝐵𝑃=𝑋−𝐼𝑀 (5-9) - 이를 가능한 정책수단(재정정책 G, 환율정책 E)과 내생경제변수(소득 Y)를 반영해 표시하면 다음과 같음 대내균형: 𝑌=𝐴(𝐺,𝑌)+𝐵𝑃(𝐸,𝑌), 𝐴_𝐺>0, 𝐴_𝑌>0, 〖𝐵𝑃〗_𝐸>0, 〖𝐵𝑃〗_𝑌0, 〖𝐼𝑀〗_𝐸0 - 재정지출의 증대는 수요를 증대시켜 총지출을 증가시..
배경 - 현실에서는 평가절하가 경상수지를 개선시키지 못하거나 악화시키는 경우 종종 발생 - 여러 이유: J-커브 효과, 환율전가 효과, 교두보 효과 등 J-커브 효과(J-curve effect) 개요 - 평가절하 이후 시간변화에 따른 경상수지 조정 과정을 설명 - 평가절하 후 단기적으로는 경상수지가 악화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개선시킴 - 조정과정이 영어 “J” 글자와 유사해 J-커브 효과라고 부름 J-커브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 - (5-1)식을 이용해 설명 - 평가절하를 단행하면 환율(E)은 바로 변하지만, 이에 따른 수량변화(X 또는 X*)는 당장 발생하지 않고 시간이 걸림 - 예를 들어 수출입은 이미 체결된 계약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수량변화는 처음에 크지 않음 - 또한 소비자들이 가격변화에 따라 소비..

통화론자 모형에서의 국제수지 결정 국내총지출 𝐴=𝑃¯𝑦+𝛼(𝑀−𝑘𝑃¯𝑦) (6-14) ¯𝑦: 완전고용실질소득, 𝛼: 통화시장의 적응속도 - (6-14)식에 따르면 통화부문이 균형을 이루는 경우(𝑀=𝑘𝑃¯𝑦), 국내총지출과 명목소득이 일치하여(𝐴=𝑃¯𝑦) 재화부문도 균형을 이룸 국제수지 - 국제수지는 소득-총지출 이므로 (6-14)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 𝐵𝑃=𝑃¯𝑦−𝐴=𝛼(𝑘𝑃¯𝑦−𝑀) (6-15) - 통화 부문에서 초과수요가 존재하면 지출을 억제하게 되고 따라서 수입이 줄어들어 국제수지 흑자가 발생 통화퇴장(hoarding of cash balance: H) - 불태화정책을 쓰지 않으면 국제수지 흑자(적자)는 통화량을 증가(감소)시킴: 𝐵𝑃=𝑀 ̇, 𝑀 ̇: 통화량의 변화분 - 따라서 (6-15)를 다음..